요산의 체력단련장 동작마루길
이틀에 한번 산책을 한다. 내가 사는 동네가 동작충효길 상도근린공원에 속해있다. 공원은 관악산이 한강에서 맥을 끊는 여러 갈래 중 북서로 뻗은 청룡산, 장군봉, 국사봉 줄기와 북으로 뻗은 까치산, 달마산, 국립서울현충원 줄기를 사이에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주지역이었다고 하니 산수와 풍광이 좋았던 모양이다. 그 영향으로 공원에는 아직도 아름드리 고목나무가 자라고 있다.
상도동 중아하이츠빌 아파트 후문으로 빠져나가면 동작충효길에서 벗어난 동작마루길과 만난다. 동작마루길은 상도로 7호선 상도역과 숭실대역 사이 국사봉과 달마산 자락을 잇는 둘레길이다.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공원도 함께 개발되었다.
동작마루길 상도동 전망대에서 흑석동 용산 남산 순으로 전망한다.
상도동 중아하이츠빌 아파트 후경
상도근린공원 체력단련장이다. 최신식 벤치프레스가 놓여 있지만 산책 시작 후 바로 만나기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는다.
어린이집 야외학습 모습
체력단련장 이정표에 중아하이츠빌 아파트, 힐스데이트상도프레스티지 아파트, 구암중, 고등학교, 화장실, 전망대 주변 지명들이 표기되어 있다. 동작마루길은 상도역에서 시작한다. 요산의 산책 시작 지점인 중아하이츠빌 아파트 고도가 100m, 최고 고도 국사봉이 200m, 평균 고도가 150m, 오르막과 내리막이 빈번하게 나타나 고산준령과 상대적으로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산세다.
벚나무
봄에 고목에 핀 꽃을 볼 수 있다. 바라보고 있노라면 애처롭기도 하고 처연하기도 하다. 차라리 고목이 났다.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겨울나무를 상징하는 풍채다.
단풍나무
20년 동안 지켜봤지만 완벽하게 단풍이 든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나이(樹齡) 탓인지 그나마 물든 단풍도 고운적이 없었다. 어린 단풍이 곱게 물드는 것을 보면 인간사와 다를 게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동작마루길 전망대 대방동, 신대방동 일원 전망
국사봉 전망
동작마루길 구조표시판
밤나무
느티나무
신대방동 방향으로 전망이 좋다. 둘레에 걸터앉을 수 있게 낮은 담장도 있고 벤치도 있다. 한 여름에 그늘도 좋고 서풍이 시원하고 저녁 일몰도 볼만하다.
침목계단
평탄한 길에서 언덕만 나타나면 어김없이 놓여있는 나무계단 침목으로 튼튼하게 만들었다.
동작마루길 이정표 ( ↑ 국사봉 0,83km, ↓ 상도역 1,03km, →양녕대군 이제 묘역 1,27km)
정자가 있는 쉼터 (맨발 걷기, 운동기구, 벤치, 평의자)
벤치
상도근린공원과 국사봉을 잇는 낮은능선 입구에 놓여있다. 나무들이 키가 커 높은 숲을 유지하고 있어 여름에는 바람이 지나다니는 길목이다. 여기서부터 동작마루길을 이탈하여 동작충효길 6코스로 진입한다.
대왕참나무
미국이 원산지라고 한다. 올곧고 단단하게 자라 수형이 아름답다 이파리가 임금 '王' 字를 닮았고 단풍은 참나무 중에는 가장 붉게 물든다.
버드나무
복사나무
태풍에 줄기 하나가 약간 아래로 처졌다. 버팀목을 해야 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는데 산림감시요원은 진작 아무 일 없다는 듯 태연하다. 주변에 산수유, 매실나무와 함께 요란하게 봄꽃을 피운다.
고래바위
깔딱계단
국사봉 배드민턴장
야생동물 이동통로 및 보도교
동작충효길 6코스 안내판
신대방삼거리역 → 빙수골마을공원 → 갑을명가아파트 → 국사봉정상 → 상도근린공원관리사무소 → 살피재 → 숭실대입구역 →상도출입문 = 4,84km. 국사봉은 인구 밀집지역 한 가운데 있어 등산로가 거미줄처럼 엮여있다. 국사봉을 가장 낮은 자락으로 한 바퀴 돌아나온다.
국사봉 침목계단
상도근린공원관리사무소
봉천동 아파트 숲 전망
국사봉(國師峯 179m)
지금은 아파트에 가려 정상 부분만 보이지만 그 옛날 한강, 남대문, 경복궁을 일직선으로 바라보던 한가락하던 산이다. 산기슭에 무학대사가 창건한 사자암이라는 유명한 절도 있고 태종의 큰 아들 양녕이 묻혀 있는 지덕사도 있다. 그리고 산의 기본 요소를 다 갖추고 있어 심심산골이 따로 없다.
국사봉은 관악구와 동작구의 구계가 지나간다. 따라서 쉼터, 전망대, 체력단련장 등 각종 편의 시설을 해당 구역 방향으로 설치해 놓았다.
봉천동 일대 관악산 전망
삼성산 전망
'요산의 하루'체력단련장
목, 어깨, 팔목, 손목, 허리, 무릎, 발목 관절 스트레칭 5분, 철봉(오래 매달리기), 벤치프레스(20kg 2회 100번), 인클라인복근(윗몸일으키기 1회 35번) 전체 15분 소요된다.
거북알바위 군집
장군봉 갈림길이다. 봉촌동 봉천로, 신림동 남부순환로 횡단하면 장군봉을 만난다. 이어 청룡산, 관악산으로 이어진다.
소쩍새
찍사 여러분이 대형 카메라를 세팅하고 소쩍새 일거수일투족 촬영하고 있었다. 마음에 드는 사진을 찍기 위해 며칠을 기다릴 것 같다. 휴대폰 망원으로 어설프게 잡아봤다.
三聖山獅子庵 일주문
무학대사가 한양을 조선의 수도로 정하고 경복궁을 축조할 때 풍수지리에 의해 호암산이 북으로 날뛰는 호랑이 형상을 하고 있어 이를 꺾기 위해 호암산 아래 호압사를 창건하고 국사봉에 사자암도 세웠다고 한다.
수세전(壽世殿)과 단하각(丹霞閣)이다. 수세전은 칠성여래를 모셨고 단하각은 독성과 산신을 모셨다. 이를 합쳐 삼성각으로 모시는 사찰이 대부분이다.
사자암 참죽나무
사자암 느티나무
그네의자
여의도 방면 전망
보라매공원 방면 전망
중앙하이츠빌 아파트 일원 전망
야생동물 이동통로 건너기 (2024년 12월 준공)
국사봉배수지 상부 체육공원
봉현배수지 돔 지붕
유아 숲 체험장
구암정
구암고등학교 후문 깔딱계단
상현드림 숲 입구
사철나무 고목
백구
산책로 옆 개나리 울타리에 문이 없는 집 새끼 때부터 보아왔다. 지금 나이가 3살 정도 하루 종일 홀로 집을 지키고 있는 모습에 누군가 그리울 것 같아 한 번씩 들여다보다 더 가까워지기 위해 간식거리를 준비해 주곤 한다. 무뚝뚝한 친구라 가까이 다가가서 손을 내밀어야 아는 체 한다.
아카시나무
살피재(봉천고개)
옛날에 4 차선 도로, 그 옛날에는 도보로 넘던 고갯마루였는데 김영삼 대통령 당선으로 8차선으로 바뀌며 상도로가 되었다. 고개에 육교도 있고 횡단보도도 있다. 옛날 짐승이나 도적을 살피며 넘든 고개에서 과속차량을 살피며 건너는 고개가 되어버렸다.
상현중학교에서 동작마루길은 좌측, 동작충효길은 우측, 현충원 둘레길과 접속하려면 우측으로 진입
동착충효길 6코스 현충원 둘레길 진입로
현충원 상도통문에세 동작충효길 6코스가 끝나고 左 고구동산길 右 현충원길로 나누어 진다. 좌로 진행
서달산(179m)
서달산 동작대
거북바위
달마사는 거북바위 전설이 한몫한다. 서달산에는 거북이 형상을 한 검은 바위가 유난히 많은데 삐죽하게 생긴 것들을 유심히 보면 어떤 형태로든지 거북이 닮고 있다. 이들 거북이들은 일 년에 두 번 한강에 멱감으로 간다고 한다.
미륵불입상
달마사 전경
수덕사 만공스님의 제자 유심스님이 1931년 창건한 도량이다. 대웅전을 비롯한 극락전, 삼성각, 요사체, 일주문 등을 갖추면서 사찰로 일신하게 되었다. 봉안당이 인기가 있는 모양이다. 불사가 끝일 날이 없다. 한국 여자프로골퍼 구옥희도 여기 안치되어 있다.
여의도 방면 전망
용산 방면 전망
롯데월드타워 중심 강남 일원 전망
동작충효길 제1코스 고구동산길
흑석동 재개발 아파트 한강, 용산, 남산을 가렸다
숲 속 도서관
한 번은 사람 있나 하고 들여다보다 여직원 한테 들켜 믹스커피를 얻어 마신 적이 있다. 이 일대는 숲 속 유치원으로 매일같이 부근 어린이집 자연학습장이기 때문에 직원이 상주한다.
잣나무 사잇길
은행나무 고목
고구동산길 중대 후문 입구
여기서 부터 집까지 약 1km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가 혼재한 주택가를 빠져나가 상도로를 건느면
상도동 중아하이츠빌 아파트
점심 먹고 산책 나서는 시각이 오후 1시경 이렇게 한 바퀴 돌고 오면 오후 4시 거리는 약 10km 전 후 15,000보가 넘는다. 이틀에 한 번씩 운행하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고 진행하고 있다. 상도동으로 이사 온 지 어언 20년이 다 돼 간다. 스스로 정한 약속 지금까지 잘 지키고 있다.
2025년 01월 02일
'길따라 소문따라 > 동작충효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작충효길 상도근린공원~국사봉~서달산 이어 걷기 (0) | 2023.08.13 |
---|---|
동작충효길 6코스 동작마루길 (0) | 2020.01.02 |
동작충효길 7코스(사당역~까치산~백운고개) 까치산길 (0) | 2018.05.02 |
동작충효길 6코스(신대방삼거리~국사봉~상도근린공원~현충원상도문) 동작마루길 (0) | 2018.04.30 |
동작충효길 5코스(신대방삼거리~보라배공원~보라매역) 보라매길 (0) | 2018.04.27 |